[221025] 우리의 연결될 권리를 보장하라 - 건강가정기본법 제3조 1항 삭제를 촉구하는 국회 앞 발언대 > 활동후기

본문 바로가기


공지/활동후기

공지/활동후기 활동후기

활동후기

[221025] 우리의 연결될 권리를 보장하라 - 건강가정기본법 제3조 1항 삭제를 촉구하는 국회 앞 발언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여세연 작성일22-10-25 12:40 조회596회 댓글0건

본문

 
10월 25일(화), 여성가족부 국정감사 당일인 오늘 국회 앞에서 여성가족부와 국회가 건강가정기본법 개정에 역할을 다할 것을 요구하는 <우리의 연결될 권리를 보장하라 - 건강가정기본법 제3조 1항 삭제를 촉구하는 국회 앞 발언대>가 진행되었습니다.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도 공동주최와 발언으로 함께 하였습니다. 이효진 활동가의 발언! 공유드립니다.
-
 
여성가족부는 2021년 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에서 “법률혼·혈연 중심으로 규정된 가족 관련법의 가족 정의 규정을 개정하고, 가족유형에 따른 차별금지·예방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 기본계획의 정책 추진 방향은 바로, “가족의 다양성 포용”이었습니다. 
 
그런데, 정권이 바뀌자 여가부는 다양성도, 포용도 없는 가족 정책 입장을 내놓고 있습니다. 지난 발표를 뒤엎고, “법적 가족 개념 정의에 대한 소모적 논쟁”을 하고 싶지 않다고 합니다. “법률을 개정하는 데 있어서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합니다. 정치권은 차별의 목소리에 힘을 실을 때만 ‘사회적 합의’를 들먹이고, 불평등 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에는 ‘논쟁’ 딱지를 붙입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1년도 가족과 출산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동거나 사실혼 상태의 남녀 10명 중 3명꼴로 정부 지원에서 차별을 경험했다고 답했습니다. 법률혼·혈연 중심으로 규정한 협소한 가족 개념으로 인한 차별은 이미 2014년 국가인권위원회 조사에서도 밝혀진 바있습니다. <성적지향・성별정체성에 따른 차별 실태조사>에 따르면 동성애․양성애자 응답자 중 17%가 파트너십 제도의 공백으로 차별을 경험했다고 응답했습니다. 
 
여가부 장관은 건강가정기본법에 대한 여러 비판을 묵살하며 “(그럼에도) 실질적 지원이 가능하게” 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정책은 법률을 근거로 기획되고, 집행됩니다. 법률에서 ‘정상 가족’이 이성애중심-혈연-가족이 아닌 이들을 가족이라 인정하지 않는데, 이들이 어떻게 주거, 의료, 재산, 분할 등에서 실질적 지원을 받을 수 있겠습니까? 국가가 어떤 삶을 보호하고/보호하지 않을 것인지를 규정하고 있는데, 어떻게 위탁가족이, 한부모가족이, 사실혼 가족이, 성소수자가족이, 비혼여성이 사회적 편견으로부터 자유롭겠습니까? 헛소리도 정도껏 하십시오.
 
이는 여성가족부를 폐지하고 ‘인구가족양성평등본부’를 만들겠다던 윤석열 정부의 인식과 맞닿아 있습니다. 결혼, 출산하지 않는 삶을 사는 이들을 문제적 집단으로 취급하고, 사회 안전망으로부터 밀어버리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그렇습니다. 이는 자유롭고 평등한 삶을 요구하는 여성들의 목소리를 지우고, 국가가 구성한 이성애-정상가족의 영역으로 여성을 묶어두겠다는 의지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건강가정기본법을 개정하지 않겠다는 여가부의 입장은 ‘현행 유지’가 아니라 ‘퇴행’입니다. 차별의 영역을 발굴하고 성평등 정책을 기획하고 집행할 책임이 있는 여가부가 우리 사회가 이미 합의한 ‘평등’과 ‘다양성’의 가치를 외면하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는 기후위기, 코로나 19 등으로 이미 여러 차례 위기를 맞았고, 이제는 새로운 관계와 삶에 맞는 사회 시스템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정치권은 더 이상 전통적인 가족 개념으로는 실재하는 다양한 관계를 설명할 수 없음을 인정하고, 서로를 아끼고 돌보며 살아가는 이들이 자유롭고 안전하게 삶을 꾸려 나갈 수 있도록 사회 안전망을 만들어야 합니다. 윤석열 정부와 여가부는 들으십시오. 과거의 퇴행이 아닌, 시민들의 변화하는 삶에 맞춘 비전을 제시하라. 여성들은 임신, 출산, 양육의 도구가 아니다. 차별을 걷고, 성평등을 제시하라.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515건 1 페이지
활동후기 목록
(DAY 7) 2023년 7월 17일 : HLPF 참여후기 인기글

어느덧 HLPF 일곱째 날이 되었어요. 여성그룹(Women's Major Group)은 오전 미팅을 통해 지난주 회의에서 공유할만한 특이사항이 있었는지 나누었습니다. 지난 금요일 유엔 본부 건물 맞은편 평화의상에서 진행되었던 …

날짜 : 02-23     조회수 : 711
(DAY 5-6) 2023년 7월 14-15일 : HLPF 참여후기 인기글

어김없이 아침 7시 30분부터 일정을 시작했습니다. 공식 프로그램 전 MGoS(주요 이해관계자 그룹)인 APRCEM(Asia Pacific Regional CSO Engagement Mechanism, 아시아태평양지역 시민사회단체 참…

날짜 : 02-23     조회수 : 659
(DAY 4) 2023년 7월 13일 : HLPF 참여후기 인기글

[7월 13일 프로그램]   [07:30 - 09:00] 사이드이벤트: 채무, 긴축, 여성 인권: 2030 아젠다의 중간점에서 구조적 장벽 다루기 (APWLD side-event: Debt, Austerity an…

날짜 : 02-23     조회수 : 609
(DAY 3) 2023년 7월 12일 : HLPF 참여후기 인기글

아시아태평양지역 시민사회단체 참여 메커니즘(Asia Pacific Regional CSO Engagement Mechanism, APRCEM)과 여성 그룹(Women’s Major Group, WMG) 공식 일정 전 아침 …

날짜 : 09-20     조회수 : 1094
(DAY 2) 2023년 7월 11일 : HLPF 참여후기 인기글

어김없이 오전 7시부터 일정을 시작했습니다. 아시아태평양지역 시민사회단체 참여 메커니즘(Asia Pacific Regional CSO Engagement Mechanism, APRCEM)과 여성 그룹(Women’s Ma…

날짜 : 09-20     조회수 : 674
(DAY 1) 2023년 7월 10일 : HLPF 참여후기 인기글

*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은 한국 정부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목표 달성을 위한 이행점검 체계를 갖추고 제대로 진행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여세연은 전세계 여성활동가들과 함께 SDGs 이행 과정에서…

날짜 : 09-18     조회수 : 712
[230824] <공원 여성살해 사건 피해자 추모 및 여성폭력 방지… 인기글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은 지난 8월 24일 <공원 여성살해 사건 피해자 추모 및 여성폭력 방지국가 규탄 긴급행동>에 다녀왔습니다.   8월 18일 출근길에 공원에서 살해당한…

날짜 : 09-01     조회수 : 585
(D-1) 2023년 7월 9일 : MGoS 오리엔테이션, 우리의 힘으로… 인기글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은 7월 10일부터 개최되는 지속가능발전 고위급정치포럼(HLPF: High Level Political Forum on Sustainable Development) 시작에 앞서 7월 9일 일요일 오전 10시…

날짜 : 07-21     조회수 : 941
7월 10일~19일, 유엔 고위급정치포럼(HLPF)에 참여합니다! 인기글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 in 유엔!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은 한국 정부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

날짜 : 07-12     조회수 : 803
[230610] "페스티벌 킥" 부스에 참여했습니다. 인기글

'가부장제 사회에 킥(Kick)을 날리자'는 주제로 열리는 여성주의 문화 축제로, 2015년부터 한국여성의전화 주최로 열리고 있어요. 코로나-19 이후 무려 4년 만에 열리는 '페스티벌 킥'은 …

날짜 : 06-13     조회수 : 811
[230319-22] FDJ 모니터링 사업 2차 교육에 참여했습니다. 인기글

  여세연은 작년에 아시아·태평양 여성과 법·발전 포럼(APWLD)과 파트너십을 체결,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모니터링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페…

날짜 : 04-25     조회수 : 783
[230410] "국민과 함께 선거개혁! 전원위는 비례성과 대표성을 보장… 인기글

  오늘(4월 10일)부터 나흘 동안 국회 전원위원회에서는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서 결의안에 담은 3개안을 중심으로 선거제 개편을 위한 토론을 진행합니다.    전원위에 제출된 3개…

날짜 : 04-10     조회수 : 776
[230401] “국회의원 수, 늘려? 말어?” - 국회의원 적정 정수 … 인기글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은 2024정치개혁공동행동의 대표자단체이자 사무국단체로 국회의 정치개혁 논의와 이행을 촉구하고 대중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정치개혁 의제 중 선거제도 개혁에 …

날짜 : 04-07     조회수 : 682
[230312] 대만-일본-한국 CSW NGO 포럼을 진행했습니다. 인기글

2023년 3월 6일부터 17일까지 제67차 유엔 여성지위위원회(CSW, the Commission on the Status of Women)가 개최되었습니다. CSW는 여성 지위 향상과 관련된 현황 및 이행 방안을 검토하고 유엔…

날짜 : 04-07     조회수 : 891
3월 16일, 기자회견 "선거제 개편, 국민 공론화 통해 국회의원 증원 … 인기글

  여세연은 692개의 노동·시민단체가 모여 활동하고 있는 2024정치개혁공동행동의 대표자단체*사무국으로 열심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오늘(3월 16일), 국회 소통관에서 "선거제 개편, …

날짜 : 03-16     조회수 : 781
게시물 검색

(07263)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로19길 13 삼광빌딩 3층
Tel.02-824-7810 Fax.02-824-7867 e-mail.wopo@womanpower.or.kr
Copyright (c) womanpower. with 푸른아이티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