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328] 다당제 정치개혁을 위한 정당-시민사회단체 공동기자회견> > 활동후기

본문 바로가기


공지/활동후기

공지/활동후기 활동후기

활동후기

[220328] 다당제 정치개혁을 위한 정당-시민사회단체 공동기자회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여세연 작성일22-03-29 16:20 조회608회 댓글0건

본문

오늘(3/28) 오전 11시, 정치개혁을 위한 시민사회단체 연대기구인 정치개혁공동행동과 7개 원내외 정당(기본소득당, 노동당, 녹색당, 미래당, 시대전환, 정의당, 진보당)은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다당제 정치개혁을 위한 정당-시민사회단체 공동기자회견>을 개최했습니다.
[제20대 대통령선거는 여성, 노동, 환경 등 국민의 삶과 밀접한 다양한 의제들이 지워지고 차별과 혐오, 증오와 선동의 정치가 난무한 선거였다. 국민들은 ‘역대급 비호감 대선’이라 규정하면서도 양대 정당 사이에서 선택을 강요받았다. 거대 양당이 양당 체제를 고착화시킨 책임이 있음에도 그 결과는 국민이 져야 할 부담이 되었다. 따라서 다당제 정치개혁은 다양한 국민들을 대표할 수 있는 정치, 혐오와 차별이 없는 정치를 만드는 출발이며, 국민의 삶을 바꾸어 내기 위한 절절한 과제이다. 이번 제8회 동시지방선거는 다당제 정치개혁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 되어야 한다.]
기자회견문 전문 공유드립니다 -!
“다당제 정치개혁이 국민이 살 길이다”
다가오는 6월 1일은 제8회 전국지방선거일이다. 지방선거가 3개월도 남지 않았는데 출마할 예비후보들은 자기의 선거구가 어디인지, 몇 명을 뽑는지도 모르고 있다. 선거구가 획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2018년 6월 헌법재판소는 선거구 인구비례를 4:1에서 3:1로 변경하라는 결정을 하였다. 이에 따라 2022년 지방선거부터 적용될 공직선거법이 개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두 거대 정당이 임무를 방기한 결과 관련 일정이 줄줄이 밀려 있는 것이다. 공직선거법 24조의3의 5항은 선거일 6개월 전까지 지방선거 선거구 획정안을 시도지사에게 제출하도록 하고 하지만, 과거에도 그랬듯이 국회는 너무도 가볍게 이 법 조항을 어겼다.
국회의 임무 방기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2월 27일 더불어민주당은 송영길 대표가 발표한 '국민통합 정치개혁안'을 만장일치로 당론 채택했다. 그 중 기초의원 지역구 최소 정수를 3인으로 하고, 4인 이상의 경우 선거구 분할을 할 수 없게 하는 6월 지방선거 관련 조항은 “대선 직후에 신속하게 진행하겠다”고 특별히 강조했다. 하지만 국민의힘의 완강한 반대 속에 대선 직후 정개특위는 공전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국회 정개특위가 기초의원 지역구 선거에 중대선거구를 도입하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전체회의에 상정(3/24)한 것은 늦었지만 환영할 만하다. 국민의힘이 이 개정안을 반대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2월 25일 TV토론회에서 “개헌문제보다 중요한 게 선거제도 개혁”이라며 “정치를 하기 전부터 중대선거구제를 선호해 왔다”고 발언하였다. 그리고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은 입버릇처럼 ‘다당제 개혁’을 부르짖어 왔다. 국민의힘은 대선 승리에 도취되어 광역의회 정수 조정을 강변하며 다당제 정치개혁을 위한 선거법 개정을 훼방놓을 것이 아니라 자신들이 했던 발언에 대해 책임져야 할 것이다.
제20대 대통령선거는 여성, 노동, 환경 등 국민의 삶과 밀접한 다양한 의제들이 지워지고 차별과 혐오, 증오와 선동의 정치가 난무한 선거였다. 국민들은 ‘역대급 비호감 대선’이라 규정하면서도 양대 정당 사이에서 선택을 강요받았다. 거대 양당이 양당 체제를 고착화시킨 책임이 있음에도 그 결과는 국민이 져야 할 부담이 되었다. 따라서 다당제 정치개혁은 다양한 국민들을 대표할 수 있는 정치, 혐오와 차별이 없는 정치를 만드는 출발이며, 국민의 삶을 바꾸어 내기 위한 절절한 과제이다. 이번 제8회 동시지방선거는 다당제 정치개혁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 되어야 한다. 우리는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선거제도 개혁을 요구한다.
하나, 기초의원 3인 이상 중대선거구제로 개편하라.
하나, 광역의회 및 기초의회의 비례대표 비율을 늘려라.
하나, 광역단체장 및 기초단체장 선거에 결선투표제를 도입하라.
하나, 지방자치 발전을 위해 지역정당을 허용하라.
하나, 선거비용 보전은 득표율이 아니라 정액 기준으로 하여 선거공영제를 확립하라.
하나, 국회 의석수를 근거로 한 지방선거 선거 기호제를 폐지하라.
하나, 지역구에 여성후보 30% 이상 의무 공천하라.
하나, 다당제 보장하는 정치개혁 즉각 실천하라.
2022년 3월 28일
정치개혁공동행동 · 기본소득당 · 노동당 · 녹색당 · 미래당 · 시대전환 · 정의당 · 진보당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515건 1 페이지
활동후기 목록
(DAY 7) 2023년 7월 17일 : HLPF 참여후기 인기글

어느덧 HLPF 일곱째 날이 되었어요. 여성그룹(Women's Major Group)은 오전 미팅을 통해 지난주 회의에서 공유할만한 특이사항이 있었는지 나누었습니다. 지난 금요일 유엔 본부 건물 맞은편 평화의상에서 진행되었던 …

날짜 : 02-23     조회수 : 694
(DAY 5-6) 2023년 7월 14-15일 : HLPF 참여후기 인기글

어김없이 아침 7시 30분부터 일정을 시작했습니다. 공식 프로그램 전 MGoS(주요 이해관계자 그룹)인 APRCEM(Asia Pacific Regional CSO Engagement Mechanism, 아시아태평양지역 시민사회단체 참…

날짜 : 02-23     조회수 : 649
(DAY 4) 2023년 7월 13일 : HLPF 참여후기 인기글

[7월 13일 프로그램]   [07:30 - 09:00] 사이드이벤트: 채무, 긴축, 여성 인권: 2030 아젠다의 중간점에서 구조적 장벽 다루기 (APWLD side-event: Debt, Austerity an…

날짜 : 02-23     조회수 : 603
(DAY 3) 2023년 7월 12일 : HLPF 참여후기 인기글

아시아태평양지역 시민사회단체 참여 메커니즘(Asia Pacific Regional CSO Engagement Mechanism, APRCEM)과 여성 그룹(Women’s Major Group, WMG) 공식 일정 전 아침 …

날짜 : 09-20     조회수 : 1080
(DAY 2) 2023년 7월 11일 : HLPF 참여후기 인기글

어김없이 오전 7시부터 일정을 시작했습니다. 아시아태평양지역 시민사회단체 참여 메커니즘(Asia Pacific Regional CSO Engagement Mechanism, APRCEM)과 여성 그룹(Women’s Ma…

날짜 : 09-20     조회수 : 663
(DAY 1) 2023년 7월 10일 : HLPF 참여후기 인기글

*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은 한국 정부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목표 달성을 위한 이행점검 체계를 갖추고 제대로 진행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여세연은 전세계 여성활동가들과 함께 SDGs 이행 과정에서…

날짜 : 09-18     조회수 : 704
[230824] <공원 여성살해 사건 피해자 추모 및 여성폭력 방지… 인기글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은 지난 8월 24일 <공원 여성살해 사건 피해자 추모 및 여성폭력 방지국가 규탄 긴급행동>에 다녀왔습니다.   8월 18일 출근길에 공원에서 살해당한…

날짜 : 09-01     조회수 : 575
(D-1) 2023년 7월 9일 : MGoS 오리엔테이션, 우리의 힘으로… 인기글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은 7월 10일부터 개최되는 지속가능발전 고위급정치포럼(HLPF: High Level Political Forum on Sustainable Development) 시작에 앞서 7월 9일 일요일 오전 10시…

날짜 : 07-21     조회수 : 929
7월 10일~19일, 유엔 고위급정치포럼(HLPF)에 참여합니다! 인기글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 in 유엔!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은 한국 정부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

날짜 : 07-12     조회수 : 790
[230610] "페스티벌 킥" 부스에 참여했습니다. 인기글

'가부장제 사회에 킥(Kick)을 날리자'는 주제로 열리는 여성주의 문화 축제로, 2015년부터 한국여성의전화 주최로 열리고 있어요. 코로나-19 이후 무려 4년 만에 열리는 '페스티벌 킥'은 …

날짜 : 06-13     조회수 : 796
[230319-22] FDJ 모니터링 사업 2차 교육에 참여했습니다. 인기글

  여세연은 작년에 아시아·태평양 여성과 법·발전 포럼(APWLD)과 파트너십을 체결,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모니터링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페…

날짜 : 04-25     조회수 : 774
[230410] "국민과 함께 선거개혁! 전원위는 비례성과 대표성을 보장… 인기글

  오늘(4월 10일)부터 나흘 동안 국회 전원위원회에서는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서 결의안에 담은 3개안을 중심으로 선거제 개편을 위한 토론을 진행합니다.    전원위에 제출된 3개…

날짜 : 04-10     조회수 : 762
[230401] “국회의원 수, 늘려? 말어?” - 국회의원 적정 정수 … 인기글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은 2024정치개혁공동행동의 대표자단체이자 사무국단체로 국회의 정치개혁 논의와 이행을 촉구하고 대중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정치개혁 의제 중 선거제도 개혁에 …

날짜 : 04-07     조회수 : 672
[230312] 대만-일본-한국 CSW NGO 포럼을 진행했습니다. 인기글

2023년 3월 6일부터 17일까지 제67차 유엔 여성지위위원회(CSW, the Commission on the Status of Women)가 개최되었습니다. CSW는 여성 지위 향상과 관련된 현황 및 이행 방안을 검토하고 유엔…

날짜 : 04-07     조회수 : 880
3월 16일, 기자회견 "선거제 개편, 국민 공론화 통해 국회의원 증원 … 인기글

  여세연은 692개의 노동·시민단체가 모여 활동하고 있는 2024정치개혁공동행동의 대표자단체*사무국으로 열심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오늘(3월 16일), 국회 소통관에서 "선거제 개편, …

날짜 : 03-16     조회수 : 770
게시물 검색

(07263)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로19길 13 삼광빌딩 3층
Tel.02-824-7810 Fax.02-824-7867 e-mail.wopo@womanpower.or.kr
Copyright (c) womanpower. with 푸른아이티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