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614] (경향신문) “이희호의 삶을 ‘여사’라는 틀에 가둬선 안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여세연 작성일19-11-12 19:21 조회2,212회 댓글0건본문
‘한국 여성운동의 씨앗이자 뿌리’, ‘민주주의에 평생을 헌신한 사회 운동가’, ‘영부인 이전에 시대를 앞서간 지도자’. 14일 열린 고 이희호 김대중평화센터이사장 장례식에서 조사를 맡은 정치인들이 고인에게 헌사한 수식어들이다. 기성 언론에서도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이 아닌 ‘1세대 여성운동가’이자 ‘민주화 운동가’로서 고인의 행적에 주목한 기사를 쏟아냈다. 대통령 부인을 다룬 기존 기사들이 따뜻한 성품과 내조를 강조한 것과 대조적이다.
“1세대 여성운동가 상징성 워낙 커”
성중립적 호칭 사용 해시태그 운동
페미니즘 대중화도 재평가에 한몫
취업준비생 은지영씨(29)는 “고인이 여성운동가였다는 사실은 알았지만 그가 남긴 업적은 정확히 알지 못했다. 미투운동에 지지 발언을 한 사실도 뒤늦게 알게 됐다”고 했다.
은 씨는 “1세대 여성운동가로서 고인의 업적이 서거 후에야 조명받는 것이 때늦었다는 생각도 든다”고 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이희호의 삶을 ‘여사’라는 틀에 가둬서는 안된다”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결혼한 여성을 높여 부르는 ‘여사’라는 호칭 대신 ‘선생님’ 같은 성중립적 호칭을 사용하자는 해시태그 운동도 나왔다. 이 이사장의 자서전 <동행>을 집필한 유시춘 EBS 이사장은 “영부인 이희호는 그분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10% 정도일 뿐 90%는 사회운동가의 모습”이라고 했다.
‘자연인’이나 ‘운동가’ 이희호에 주목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배경은 뭘까. 전문가들은 우선 이희호의 상징성을 꼽는다. 김수아 서울대 기초교육원 교수는 “기성 언론이 전 대통령 부인으로 보도하기에는 1세대 여성운동가로서 고인이 갖는 상징성이 워낙 컸다”고 했다.
한국전쟁 중이던 1950년대부터 여성과 남성의 동등한 법적 지위를 위해 싸웠고, 여성가족부 창설과 여성 정치인 확대에도 기여한 고인의 삶은 한국 여성운동의 역사와 궤를 같이한다.
달라진 시대 분위기를 꼽는 이들도 나왔다. 이진옥 젠더정치연구소 여세연 대표는 “사회에 중요한 궤적을 남긴 여성 인물들이 ‘누구의 부인’으로만 알려져 있다는 문제제기는 간헐적으로 나왔다”면서도 “고인의 경우 이러한 재평가가 여성학계가 아닌 여론을 통해 일어났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고 했다.
그는 최근 페미니즘 대중화 바람을 타고 젊은 여성들을 중심으로 여성 인물에 대한 재평가와 의미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이에 공감하는 언론도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여성 인물을 재조명하자는 움직임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 1월 타계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선생의 장례식에는 ‘여성인권운동가 김복동 시민장’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세계를 돌며 전시성폭력 피해 경험을 증언하고 재일 조선인 등 사회적 약자와 연대한 그의 활동을 ‘위안부 할머니’라는 호칭으로는 다 담을 수 없다는 취지의 명명이었다.
최근 여성가족부는 3·1운동·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항일·산업화·민주화 과정에서 여성 역할을 조명하는 여성사박물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운동가 이희호’를 재조명하려는 시도는 여성들의 투쟁사를 다시 쓰는 작업이기도 하다.
이 대표는 “이희호라는 인물을 통해 1세대 여성운동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 반갑다”며 “이들의 노력이 없었다면 오늘날의 여성운동은 존재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했다.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은 고인의 민주화 운동과 연대를 기렸다. 그는 “남편뿐 아니라 다른 민주투사들의 석방 운동에도 적극 나서는 등 민주화와 인권을 위해 평생을 헌신하신 분”이라고 말했다. 그는 “민주화 운동을 하다 수감된 분들 중 고인이 보낸 영치금을 안 받은 사람이 없다는 말이 있다”고도 했다.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06142135005&code=940100#csidxa40482c2a18da94ab978bbf05bb5db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